수리과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분야와 이들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 분야
미래 산업 경쟁력 강화의 근간이 되는 소재 및 ICT 분야
과제 & 연구자
유전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질병을 일으키는 DNA 돌연변이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것이 필요합니다. CRISPR-유전자가위 단백질(CRISPR-Cas9)은 가이드RNA와 결합하여 작동하는 인공효소로서 대상DNA염기서열(target DNA sequence)에 결합하고 절단합니다. 연구자들은 2012년 CRISPR-유전자가위로 자른 대상DNA염기서열을 세포가 인지하고 수선하는 과정에서 대상DNA를 원하는 형태로 교정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으며, 이를 다양한 유전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유전자치료제 개발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자연계에 존재하는 CRISPR-유전자가위는 대상DNA를 절단하고 교정하는 효율이 너무 낮거나, 대상DNA가 아닌 다른 DNA서열를 변화시키는 부작용 (표적이탈효과)이 발생하는 단점이 발생하곤 합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대상DNA염기서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