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표면(metasurface) 분야의 난제였던 빛 세기와 위상을 독립적으로 제어해 중적외선 파면을 보다 정확하고 고해상도로 변조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18일 KAIST(총장 신청철) 장민석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와 미국 위스콘신대학 브라(Victor Brar) 교수 연구팀은 "적외선 세기와 위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전기 신호로 광학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그래핀 기반 메타 표면을 이론적으로 제안했다"고 밝혔다.
메타표면은 차세대 광변조기술의 강력한 후보 군으로 꼽힌다. 광변조기술은 홀로그래피, 고해상도 이미징, 광통신 등 차세대 광학 소자 개발에 필수적인 기반 기술인데 기존 광변조기술은 액정을 사용하는 방식과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나뉜다.하지만 둘 모두 단위 픽셀 크기가 회절 단계보다 크고, 구동 속도에 제한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