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과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분야와 이들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 분야
미래 산업 경쟁력 강화의 근간이 되는 소재 및 ICT 분야
과제 & 연구자
큰 꿈을 향한 무한탐구의 연구열정,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이 응원하며 함께 하겠습니다.
그림 1. 유전영동방식의 수직 나노갭 미립자 포집 센서 제작 및 집진물질 박멸과 재사용 개념도.
• 나노갭기반 유전영동 (dielectrophoresis) 방식을 통한 공기질 개선 플랫폼 개발. 기존 상용화 되어있는 공기질 개선 플랫폼의 장점을 지키되 모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전혀 새로운 동작원리로 파티클 입자(Particulate Material)를 집진하는 플랫폼을 제안한다. 동작 원리는 특정 주파수의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파티클의 분극을 유도하고, 포집 가능 영역(trapping area) 내에서 분극 유도된 PM 입자가 유전힘(Fdep)이 가장 센 부분으로 집약되는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극소량 극미립자를 선택적으로 포집 혹은 방출하는 집진 및 정제를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포집 시 강한 전류를 순간적으로 가하여 오염물질을 소멸시키는 박멸전략을 가미함으로써, 부유세균 및 곰팡이도 제거가 가능한 디바이스 제작을 목표로 한다. 습윤환경 동작성뿐만 아니라 자가적 세척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제작함을 목표로 한다.
# 유전영동 방식의 실내공기 정화 시스템의 특장점:
a. 무라벨 방식의 집진 (해당 입자에 음이온 처리와 같은 추가적 전처리 과정 불필요)
b. 공기청정 막을 투과시, 필연적 감압효과를 극소화시킴.
c. 입자의 크기별, 종류별 선택적 포집이 가능 연구적/산업적 파장 예상.
d. 1분 내 실시간 측정과 자가 세척가능에 의한 반영구적 사용 (그림1),
e. 대면적 구현, 어레이화 가능 & 습윤환경 동작성 뛰어남.
f. 순간 고전압 인가함으로써 포집된 먼지뿐 아니라, 세균/곰팡이 박멸 후 세척 가능
g. 세균/미세먼지/각종 바이오입자 등의 감지, 박멸 및 세척까지 전천후 능력
그림 1. 유전영동방식의 수직 나노갭 미립자 포집 센서 제작 및 집진물질 박멸과 재사용 개념도. • 나노갭기반 유전영동 (dielectrophoresis) 방식을 통한 공기질 개선 플랫폼 개발. 기존 상용화 되어있는 공기질 개선 플랫폼의 장점을 지키되 모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전혀 새로운 동작원리로 파티클 입자(Particulate Material)를 집진하는 플랫폼을 제안한다. 동작 원리는 특정 주파수의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파티클의 분극을 유도하고, 포집 가능 영역(trapping area) 내에서 분극 유도된 PM 입자가 유전힘(Fdep)이 가장 센 부분으로 집약되는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극소량 극미립자를 선택적으로 포집 혹은 방출하는 집진 및 정제를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포집 시 강한 전류를 순간적으로 가하여 오염물질을 소멸시키는 박멸전략을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