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영역 바로가기 푸터영역 바로가기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과제응모
Science

수리과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분야와 이들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 분야

Technology

미래 산업 경쟁력 강화의 근간이 되는 소재 및 ICT 분야

과제 & 연구자

과제 & 연구자

큰 꿈을 향한 무한탐구의 연구열정,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이 응원하며 함께 하겠습니다.

researcher_203_researcher_file1_20191213131431_437387.jpg

김재균 교수

소속기관 한양대학교ERICA 나노광전자학과

선정연도 2019년

프로그래머블 초고정확도 비접촉 어셈블리기반 5000ppi급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연구

마이크로LED는 가장 이상적인 자발광 디스플레이소자로, 디스플레이의 R-G-B화소로 구성하기 위해서 개별 R-G-B마이크로LED를 각각 제작한 후, 디스플레이 백플레인과 결합하기 위한 대량 이식기술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한 다양한 전사공정이 개발되었지만, 아직 정확도, 생산성, 가격경쟁력이 확보가 되지 않아서 마이크로LED상용화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접촉식 전사공정이 아닌 비접촉식 전사방식을 통하여 고집적도 마이크로LED기반 디스플레이를 제작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활용한 고집적도 마이크로LED디스플레이는 초저전력/높은 색재현성/높은 응답특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즉,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마이크로디스플레이 기반AR/MR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저비용/확장성 있는 기술로 대형TV, 모니터, 비디오월, 대형사이니지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디스플레이 기술의 혁신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마이크로LED는 가장 이상적인 자발광 디스플레이소자로, 디스플레이의 R-G-B화소로 구성하기 위해서 개별 R-G-B마이크로LED를 각각 제작한 후, 디스플레이 백플레인과 결합하기 위한 대량 이식기술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한 다양한 전사공정이 개발되었지만, 아직 정확도, 생산성, 가격경쟁력이 확보가 되지 않아서 마이크로LED상용화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접촉식 전사공정이 아닌 비접촉식 전사방식을 통하여 고집적도 마이크로LED기반 디스플레이를 제작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활용한 고집적도 마이크로LED디스플레이는 초저전력/높은 색재현성/높은 응답특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즉,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마이크로디스플레이 기반AR/MR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저비용/확장성 있는 기술로 대형TV, 모니터, 비디오월, 대형사이니지에도

더보기
관련 뉴스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