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영역 바로가기
푸터영역 바로가기
사업소개
사회공헌사업
인사말 & 운영
FAQㆍ문의
찾아오시는길
프로그램 / 과제응모
Science
Technology
과제응모
선정과제
전체
Science
Technology
주요일정 / 공지
주요일정
선정결과
경영공시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전체메뉴
과제응모
Science
수리과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분야와 이들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 분야
Technology
미래 산업 경쟁력 강화의 근간이 되는 소재 및 ICT 분야
로그인
Science
Technology
회원가입
Science
Technology
공지사항
주요일정/공지
사업소개
프로그램/과제응모
선정과제
주요일정/공지
주요일정
주요일정
선정결과
경영공시
제목
내용
제목 + 내용
주요일정
선정결과
경영공시
월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연도
2025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2010
2025년 주요 일정
과제 공모 및 심사 2025년 상반기 2025년 하반기 과제 접수 ~ ‘24.12.13(금) 10:00 ~ ‘25.6.20(금) 10:00 서면심사 결과 발표 ‘25.1.17(금) ‘25.7.18(금) 발표심사 ‘25.2.28(금)~3.8(토) ‘25.8.25(월)~9.5(금) 최종 선정 결과 발표 ‘25.4.11(금) ‘25.10.2(목) 과제 착수 ‘25년 6월 ‘25년 12월 Annual Forum 2025: 11월 7일(금)
주요일정
2024-09-13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신입/경력사원 (계약직) 채용 - 물리학 및 기획/운영 Program Director -
물리학 및 기획/운영 PD(Program Director)로서 보람된 일을 함께 할 신입사원 또는 경력사원을 채용합니다. 모집직무 및 지원자격 1. 공통지원자격 병역필 또는 면제로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2. 직무정보 수행업무 기초과학 분야 연구지원사업 Science 프로그램 Program Director - 연구과제 심사 운영 - 연구과제 관리 - 연구지원 사업 및 프로그램 업무 기획, 운영 등 지원자격 - 이공계 전공 학사 학위 이상 (2025년 2월 대학교 졸업예정자 포함) 우대사항 - 물리학 관련 또는 기초과학 분야 전공자 - 석/박사 학위취득(예정)자의 경우 수학기간을 경력기간으로 인정 - 연구기획/관리 및 관련 직무 경험자 - 문서, 이메일 및 대면으로 영어 소통 가능자 · OPIc IM 이상 또는 TOEIC Speaking Level 6(130점) 이상(또는 이에 준하는 수준) - OA 소프트웨어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등) 사용 능숙자 채용인원 - 2명 (물리학 PD 1명, 기획/운영 PD 1명) 근무지역 - 서울 서초구 근무형태 - 계약직 ※ 1년 단위 계약(최대 2년 근무) 제출 서류 1. 입사지원서 아래 작성 가이드에 따라 작성한 ‘입사지원서’를 PDF 파일로 「고용24」에서 접수바랍니다. 바로가기 작성 가이드 - 자유 양식으로 작성 (단, 분량과 폰트 및 폰트 사이즈는 가이드 준수) - 제목: 입사지원서 - 사진 제출 금지 - 필수 포함 내용 1) 이력 사항 (1page 이내, 바탕체, 14pt ※ 표 형식 권장) [개인정보] 성명, 생년월일, 국적, 이메일 주소, 연락처, 주소 [학력사항] 학교명, 전공, 학위, 학위수여 연월 [경력사항] 기관명/부서, 입사/퇴사연월, 주요 업무 기술, 총경력연수(0년 00개월) [외국어] 공인 영어시험명, 등급, 점수, 취득시기 [기타 자격] 자격명, 등급, 취득시기 [병역 사항] 면제, 만기제대, 통역병 근무 등, 병역 기간 [징계 사항] 기관명, 징계명, 사유, 일자 ※ 추후 입사 확정 전, 별도의 징계내역서를 요구 시 제출하여야 합니다. [기타 사항] 2) 자기소개서 및 지원동기 (1page/공백포함 1600자 이내, 바탕체, 14pt) 2.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 고용24에서 양식을 다운로드, 작성 및 서명 후 Scan한 PDF 파일로 제출 3. 증빙서류 - 졸업증명서, 경력증명서, 공인어학 성적서, 기타 자격증, 확인서 등 · Scan한 PDF 파일로 고용24를 통해 제출하고, 추후 면접평가 시 원본을 지참하여 제출 ※ 제출 정보, 서류 보관 및 반환 관련 안내 - 당사는 자사 이력서, 기초심사자료 등 채용심사 서류에 직무수행과 무관한 구직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 구직자 본인의 용모·키·체중·출신지역·혼인여부·재산, 구직자의 직계 존비속 및 형제자매의 학력·직업·재산 등 개인정보 수집 금지 - 채용 확정 후 불합격자가 채용서류의 반환을 청구하면 14일 이내에 반환합니다. 이 때 우편발송 요금 등 반환 소요 비용은 당사가 부담합니다. · 반환청구 기간은 구직자의 채용 여부가 확정된 날 이후 14일부터 180일까지의 기간의 범위에서 당사가 정한 기간으로 합니다. - 당사는 채용서류 반환청구 기간이 지난 경우 채용서류를 모두 파기합니다. 채용 절차/일정 및 접수처 ① 입사지원서 접수: 2025.1.1 ~ 2025.1.24(금) 오후 3시(한국 시간) ② 서류평가: ~ 2025.2.7 (서류평가 합격 통보 예정일: 2025.2.7) ③ 면접평가: ~ 2025.2.21 (면접평가 합격 통보 예정일: 2025.2.26) ④ 건강검진: ~ 2025.2.28 * 상기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접수처 및 문의처 - 접수처: 고용24 바로가기 · 상기 채용 홈페이지 외 다른 방법(이메일, 우편, 방문 등)으로는 접수 불가합니다. - 문의처: recruit.stf@samsung.com 기타 사항 - 기재 내용에 허위사실이 있는 경우 합격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 채용과 관련한 중요한 사항은 지원서 작성 시 등록된 이메일로 안내 예정이오니 본인의 이메일을 정확히 기재하시기 바랍니다. - 최종합격 시 직급 및 처우는 개인별 경력사항을 고려하여 본인 협의 후 결정됩니다. - 입사지원자께서는 입사지원 시점부터 채용 전형 전체 과정에 걸쳐 전/현직 직장의 영업비밀을 침해하는 일이 없도록 각별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요일정
2024-12-31
과제 응모 시 유의사항
주요일정
2024-12-09
Annual Forum 2024
수리과학 발표 과제 PI 4차원 위상수학과 곡면 특이점 박정환 (KAIST) 함수 공간의 그래프 노름과 반사군 이준경 (연세대) 비압축성 유체의 난류 현상에 대한 수학적 해석 정인지 (서울대) 고전-양자 시대에서의 양자 계산 하승열 (서울대) 물리학 발표 과제 PI 양자 영역에서의 위그너 격자 구현 및 중간 액정 상 탐색 연구 김용관 (KAIST) 폴라리톤 보즈-아이슈타인 응축을 이용한 위상양자컴퓨팅 연구 김윤호 (포스텍) 연속체 암흑물질 이승준 (고려대) 그래핀 검출기를 활용한 가벼운 암흑 물질 탐색 박종철 (충남대) 화학 발표 과제 PI 다차원 레이저 분광학을 활용한 불균일 분자 시료의 구조-특성 연구 Thomas Schultz (UNIST) 알켄의 이중 알킬화 비대칭 반응 윤재숙 (성균관대) 초안정 유기 라디칼의 합성과 생체내 응용 이은성 (서울대) 초염기 기반 키랄성 리간드의 설계와 응용: 고산화수 전이금속 촉매반응 연구 이윤미 (연세대) 생명과학 발표 과제 PI 단일세포 타임스탬프 리코딩 및 경로추적 기술을 통한 질병세포의 모든 운명 경로 수정 김익수 (가천대) 공생균에 의한 腸신경계 발생과 기능 조절의 이해 김재상 (이화여대) 유전체 활동전위에 기반한 기억흔적의 추적 및 재구성 김태경 (포스텍) 식물 탈리 지역 표피세포의 신규 현성 원인과 기전 연구 곽준명 (DGIST) Semiconductor 발표 과제 PI 앤더슨 국지화 원리에 기반한 신개념의 반도체 레이저 광원 개발 전헌수 (서울대) 위상마디선 제어 고성능 자성 반도체 소재 및 소자 개발 김준성 (포스텍) 차세대 전자부품용 초저유전, 고점착 고분자 소재 구현 기술 임지우 (경희대) 극자외선 리소그래피 (EUVL)용 레지스트 및 적용공정 개발 이진균 (인하대) 극자외선 광액화 레지스트: EUV-L2PR 이승우 (고려대) Display 발표 과제 PI 청색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체 기반 적층형 자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개발 박민호 (숭실대) 결함 제어를 통한 신규 비납계 유사 페로브스카이트 청색 소재 및 LED 소자 응용 임원빈 (한양대) 초고 PPI 디스플레이향 트랜지스터 소자의 In-line 모니터링을 위한 결함 이미징 기술 개발 정권범 (동국대) 전용액공정 전자소자 제작용 Universal 3D crosslinker 개발 안종현 (연세대) Energy 발표 과제 PII 용매화 껍질 재구성을 통해 리튬이온 이동이 커플링된 혼성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반고체전지 이상영 (연세대) 안전하고 성능도 좋은 리튬금속 반고체전지를 위한 LPPS 전해질 송승완 (충남대) 전기차 배터리 열화속도 완화용 인공지능 기반 BMS 알고리듬 송주현 (KENTECH) 고효율 벌크 열정류 기술 백승현 (성균관대) 단백질치료제 발표 과제 PI 플러그인 화학: 분자인식 기반의 초정밀 위치선정 바이오결합기술 오승수 (포스텍) STRIC 기술: 항체-페이로드 복합체 기반 면역항암제의 시공간적 활성 제어 기술 김은하 (아주대) 프로테아좀을 매개하는 신개념 표적단백질 분해기술 개발 이민재 (서울대) 리보솜을 이용한 시험관내 거울산단백질 합성 윤형돈 (건국대)) 유전자치료제 발표 과제 PI 대상염기서열 맞춤형 유전자가위 단백질의 기계 학습 기반 신규 설계 기술 개발 김희권 (성균관대) DNA 절단 없는 유전자 삽입 기술 및 혁신적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 배상수 (서울대) 유전자 치료를 위한 RNA 스위치 발굴 김진국 (KAIST) RNA 백신.치료제 대량 생산을 위한 분자정제기술 개발 최영재 (GIST) 외부 자극에 능동적 반응과 운동성을 지닌 표적 타겟팅 아데노부속바이러스 벡터 발굴 장재형 (연세대) Analog/Digital Circuit Architecture Design 발표 과제 PI 높은 범용성 및 확장성을 가지는 SRAM Processing-in-Memory Desigh 김재준 (서울대) 에지링크: 칩렛 인터페이스를 위한 시간 영역 고속 송수신기술 개발 김진태 (건국대) 다중 칩 연산 시스템을 위한 광대역 칩간 인터페이스 설계 기술 개발 김가인 (DGIST) 임베디드 메모리 성능 예측 및 최적 설계 자동 생성 인공지능 개발 정한울 (광운대) Optics & Sensor 발표 과제 PI 1550nm 라이다를 위한 플라즈모닉 CMOS 단일광자 센서 이명재 (KIST) 4D 시-촉각 동시 동기화 구현을 위한 비접촉식 햅틱 피드백 투명 패널 기술 경기욱 (KAIST) 조합 최적화 문제를 위한 온 칩 광학 아이징 머신 한상윤 (DGIST) 2.5차원 무질서 메타 구조 기반의 스냅샷 초분광 센서 기술 장무석 (KAIST) Medical 발표 과제 PI 신경연결을 통해 고도화된 피부와 근육 모델 어레이 개발 정석 (고려대) 침묵형 의사소통을 위한 고성능 피부부착형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 개발 및 딥러닝 기반의 스트레인-단어 변환 알고리즘 개발 유기준 (연세대) 뉴런으로 구성된 뉴럴프로브를 이용한 시냅스 기반 뇌-컴퓨터인터페이스 최영빈 (UNIST) 사람 결막 술잔세포의 신속 비침습 검사를 위한 경사 빛 시트 현미경 김기현 (포스텍) Computing 발표 과제 PI 신경망 분해/통합 검증을 위한 원천 기술 연구 김지응 (인하대) 초거대 AI 가속을 위한 확장형 시스템 아키텍처 정명수 (KAIST) 강화학습을 이용한 범용 로봇 제어와 경로 탐색 체계 개발 황보제민 (KAIST) 이종 GPU 클러스터를 위한 서버리스 컴퓨팅 기반 기계학습 시스템 최영리 (UNIST)
주요일정
2024-11-04
산업계에 임팩트를 줄 수 있는 기술 관련 과제 공모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소재 및 ICT 분야) 하반기 신규 과제 선정은 지정테마 공모로 실시합니다. 기술분야 별 세부 내용은 홈페이지에서 "공모분야/과제응모 > Technology > 테마별 과제 제안 요청서(Request For Proposal, RFP)"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기초과학 분야)은 상반기와 동일하게 자유공모로 신규 과제 선정 – 산업계에 임팩트를 줄 수 있는 기술 • 반도체 AI • 차세대 반도체 소자 • 반도체 공정 기술 • 반도체 패키지 • 차세대 컴퓨팅 소자 • 차세대 디스플레이 • 차세대 통신 • Advanced AI • 차세대 배터리 • 탄소 중립 기술 • 차세대 신소재 • 차세대 유전자 치료제 • 차세대 단백질 치료제 • 바이오 공정 기술 • 디지털 헬스 • 차세대 의료/진단 ※ 테마별 과제 제안 요청서는 과제 제안서 작성을 위한 참고 목적으로, 국가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창의적·도전적 연구는 예시에 없어도 과제 제안 가능
주요일정
2024-05-14
2024년 주요 일정
과제 공모 및 심사 2024년 상반기 2024년 하반기 과제 접수 ~ ‘24.1.12(금) 10:00 ~ ‘24.7.12(금) 10:00 서면심사 결과 발표 ‘24.1.26(금) ‘24.7.26(금) 최종 선정 결과 발표 ‘24.4.12(금) ‘24.10.11(금) 과제 착수 ‘24년 6월 ‘24년 12월 Annual Forum 2024: 11월 8일(금)
주요일정
2023-11-30
Annual Forum 2023
Analysis & Metrology 발표 과제 PI 3차원 계면 및 계면 동역학의 단일 원자 단위 규명 양용수 (KAIST) 양자점의 생로병사 비밀규명을 통한 고효율·고안정성 양자점 소재·소자 개발 양지웅 (DGIST) 초고속 TEM을 이용한 저차원 양자계의 빛-물질 상호작용 극한 시공간 이미징과 제어 권오훈 (UNIST) In-situ Electron Mecroscopy Imaging of Two-dimensional Electron Gas at Oxide Surfaces and Interfaces 오상호 (KENTECH) Semiconductor 발표 과제 PI 스핀 CMOS를 이용한 스마트 로직소자 개발 박병국 (KAIST) 계면에 대한 포논 투과 스펙트럼을 통한 열 수송 기능성 평가 및 소자 구현 이종석 (GIST) 반쪽 금속 반강자성체 기반의 자기시냅스 소자 이창구 (성균관대) 초고집적 3차원 1T-DRAM을 위한 inner metal이 채널 전면을 둘러싼 tri-gate FeFET 권대웅 (한양대) 하나의 강유전체 트랜지스터를 이용하고 데이터 일치도 평가가 가능한 다중비트 내용 주소화 기억장치의 개발 최우영 (서울대) Electronic Device & Sensor 발표 과제 PI 모듈형 고강성 연속체 로봇을 위한 마그네틱 알갱이 재밍 원천 기술 개발 황동현 (KIST) 리드버그 원자를 이용한 생체 전기장 센서의 개발 김기웅 (충북대) 저차원 에미터를 이용한 진공 트랜지스터 공병돈 (POSTECH) Recent trend Ⅲ-Ⅴ Microelectronics : From THz to Logic 김대현 (경북대) Novel Devices & Materials 발표 과제 PI 역학적 양자 진동자 기반 양자 물성 탐구 서준호 (POSTECH) 고순도 사각격자 이리듐 산화물에서 보이는 새로운 물리 현상 김범준 (POSTECH) 엑시톤-폴라리톤 가변 양자 광원 개발을 위한 연구 조창희 (DGIST) 엑시톤-폴라리톤 가변 양자 광원 개발을 위한 연구 최시영 (KAIST) 선택적 원자 기울기를 통한 신개념 극성 물질 개발 이대수 (POSTECH) Optical & Communication Device 발표 과제 PI Sound-Driven Self-Assembly of MicroLED Chips for Display Module Application 유재수 (중앙대) 카이랄 소재 기반의 나노 구조 제어를 통한 파장길이 조절과 화소형 Pixel Laser기술 개발 최수석 (POSTECH) 메타광학 기반 차세대 고실감 증강현실 구현 노준석 (POSTECH) 다차원 공간전력합성 기법을 적용한 고출력 테라헤르츠 송수신 모듈 개발 전상근 (고려대) 새로운 전자기파 OAM 물성을 이용한 신개념 통신 시스템 연구 현황 최은미 (UNIST) CORE: Cognitive Organic Reconfigurable Electronics for sub-THz Wireless 홍원빈 (POSTECH) Software & Algorithm 발표 과제 PI Neural Network based Phase Hologram Ceneration and Compression 김휘용 (경희대) 엑스비전: 극한 환경에서의 영상인식 곽수하 (POSTECH) Rust기반 가상화 시스템 설계와 안전성 검증 권영진 (KAIST) 복잡한 컴퓨팅 현상 모델링 및 소프트웨어 엄밀 검증 허충길 (서울대) Mathematics & its Applicatons 발표 과제 PII 프라이버시 강화 기술의 발전 및 응용 송용수 (서울대) 블록 실사영 덴 채움 연구 이계선 (서울대) 다출처자료인자모형의 일반화와 통계이론 정성규 (서울대) Mod-p local-global compatibility 박철 (UNIST) p-진 적분과 smoothening, 그리고 궤도적분 조성문 (POSTECH) 고전 용량의 가법성 문제에 대한 작용소 대수적 접근 윤상균 (서울대) Recent results on transonic flows with sonic interfaces 배명진 (KAIST) Molecular & System NeuroScience 발표 과제 PI 물을 마시면 어떻게 갈증이 곧바로 해소될까? 김성연 (서울대) 단분자 물리력이 아밀로이드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병철 (인천대) 글림패틱 시스템의 노폐물 처리기능 향상을 위한 뇌청소기: 초음파브레인 스위퍼 박진형 (성균관대) 후각수용체 OR52 family의 후각물질 인식 및 활성화 기전 연구 최희정 (서울대) Biotherapeutics 발표 과제 PI 차세대 치료용 단백질 생산플랫폼의 개발 이균민 (KAIST) 트리플 합성치사를 이용한 효과적인 면역항암 병용치료법 개발 이주상 (성균관대) 유전자 치료를 위한 RNA 스위치 발굴 김진국 (KAIST) Chemically Primed Natural Killer Cells (Chem_NK): From the Basics to Applications 박경순 (차의과대) 면역관문억제제 효능 개선을 위한 암세포 유래 엑소좀 제어용 나노의약품 박재형 (성균관대) 음향 나노 핀셋 기반 암 치료용 표적형 나노 약물 전달 시스템 개발 임해균 (부경대) Genetic Analysis Technology & Applications 발표 과제 PI 단일세포 긴길이 전사체 분석 기술과 응용 박지환 (GIST) SEM DNA Mapping 조규봉 (서강대) 세포분열 활성 연계 식물 세포 전형성능의 이해 및 활용 노유선 (서울대) 유전 정보의 흐름과 액세상 소기관 신용대 (서울대) 3D dPCR 김도형 (명지대) Protein Structure, Function and Applications 발표 과제 PI 생체내 세포의 기능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바이오이미징 기술과 광유전학 기술 허원도 (KAIST) 물리화학과 인공지능을 결합한 단백질 구조예측 석차옥 (서울대) 단백질 아르기닌 인산화의 화학생물학적 연구 기정민 (UNIST) 생명에 필수인 단백질합성효소복합체 구조 완전성 김명희 (KRIBB) 모듈화 효소의 선택적 자기조립을 통한 인공 Metabolon 시스템 개발 윤여준 (서울대) Energy Materials & Electrochemistry 발표 과제 PI 전고체전지 내부 기계-화학적 환경을 들여다보는 피카소김법 임종우 (서울대) 고에너지/고수명 양극 소재 개발을 위한 비정질 구조의 삽입/탈리/전환 반응 활용 기술 및 전략 강기석 (서울대) 전해질 속박 나노케이지 기반 초저온 리튬금속전지 김희탁 (KAIST) 리튬금속전지용 덴드라이트-프리 유기 얼음 전해질 ICE 송현곤 (UNIST) 영하 20℃에서 고성능을 내는 전고체전지용 엘라스토머 전해질 개발 김범준 (KAIST) 전고체전지를 위한 할라이드 나노복합체 고체전해질 정윤석 (연세대) 야누스 구조를 이용한 고에너지밀도 리튬-황 전지 개발 문준혁 (고려대) 전기 이중층 구조와 전기화학 반응성 간의 상관관계 규명 김형준 (KAIST) 수분 기반 발전기 개발 및 응용 사례 소개 김일두 (KAIST)
주요일정
2023-11-10
2023년 주요 일정
과제 공모 및 심사 2023년 상반기 2023년 하반기 과제 접수 ~ ‘23.1.6(금) 10:00 ~ ‘23.7.7(금) 10:00 서면심사 결과 발표 ‘23.1.20(금) ‘23.7.21(금) 최종 선정 결과 발표 ‘23.4.7(금) ‘23.10.6(금) 과제 착수 ‘23년 6월 ‘23년 12월 Annual Forum 2023: 11월 10일(금)
주요일정
2023-01-06
Annual Forum 2022 (소재)
전자소재 1 발표 과제 PI / co-PI 웨이퍼크기의 단결정 Si2Te3 2D 박막 합성 및 고집적 Atomic switch 제조 정운룡 (포스텍) / 이동화 (포스텍) 초저전력 자성체 기반 테라헤르츠 소자 개발 이경진 (KAIST) / 박병국 (KAIST) · 이재성 (고려대) 상전이 현상을 이용한 자성 메모리 소자 최경민 (성균관대) 위상 소재 및 교환결합을 이용한 신개념 매그논 밸브 개발 진현규 (포스텍) / 김갑진 (KAIST) · 정종율 (충남대) 가전도대 제어 Mott-Hubbard 절연체 원리 기반의 p형 투명 전도성 산화물 개발 이규형 (연세대) / 이기문 (군산대) · 오민석 (KETI) 전자소재 2 발표 과제 PI / co-PI 극자외선 리소그래피 (EUVL)용 레지스트 및 적용공정 개발 이진균 (인하대) / 이상설 (포항가속기연구소) · 정병준 (서울시립대) 전용액공정 전자소자 제작용 Universal 3D Crosslinker 개발 김봉수 (UNIST) / 강문성 (서강대) · 김도환 (한양대) · 조정호 (연세대) 혁신적 polyurethane 소재: Polyacrylate polyol 화학 개척 권민상 (서울대) / 민승규 (UNIST) · 박보영 (경희대) 비가역적 엑시톤 포집 기능 유기 분자의 고효율 전기 발광 유영민 (이화여대) / 유승협 (KAIST) 분자스위치 타이머를 활용한 초고선형 동적범위 이미지 센서의 개발 정대성 (포스텍) / 김성진 (UNIST) · 김윤희 (경상대) · 윤진환 (부산대) 전자소재 3 발표 과제 PI / co-PI Rec. 2020 급 고안정성 단결정 Ruddlesden-Popper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차세대 자발광 소자 연구 신병하 (KAIST) / 이윤석 (서울대) 친환경 청색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체 기반 적층형 자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개발 박민호 (숭실대) / 한태희 (한양대) 결함 제어를 통한 신규 비납계 유사 페로브스카이트 청색 소재 및 LED 소자 응용 임원빈 (한양대) / 이보람 (부경대) · 김현유 (충남대) 초저전류 구동 초고해상도 무기물 기반 자발광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김상현 (KAIST) 초고 PPI 디스플레이향 트랜지스터 소자의 In-line 모니터링을 위한 결함 이미징 기술 개발 정권범 (동국대) / 정광식 (동국대) · 김현석 (충남대) 에너지 발표 과제 PI / co-PI 신개념 Watt급 파워지수 포논-칼코지나이드 전자-전도체 기반 열전물질 구현 이상권 (중앙대) Wearable Power용 체온발전특화 고효율 열전전지 개발 김상일 (서울시립대) / 이규형 (연세대) · 김성웅 (성균관대) 자발적 금속/산화물 상변화 제어를 통한 실시간 금속나노촉매 합성 정우철 (KAIST) / 이현주 (KAIST) · 김일두 (KAIST) · 김봉중 (GIST) · 한정우 (포스텍) 레독스 분자 전지의 개발 변혜령 (KAIST) / 주정민 (부산대) · 이윤호 (서울대) 유기 레독스 활물질의 용매화를 통한 고전압/에너지밀도 레독스 흐름 전지 장진호 (한양대) / 채정현 (성신여대) · 양정훈 (KIER) 바이오소재 1 발표 과제 PI / co-PI 나노퍼포레이터 기반 항바이러스 기전 변환 기술 권대혁 (성균관대) / 정우재 (성균관대) · 송민석 (충북대) 신개념 ‘Chromatin epi-glue’ 기술을 이용한 세포치료법 이지민 (KAIST) / 유태현 (아주대) 고형암 치료용 신규 암항원 표적을 위한 라이브 FRET 센싱 기반 fine-tuning CAR 벡터 최적화 성지혜 (KIST) / 이창한 (서울대) · 김항래 (서울대) · 장미희 (KIST) 전자기 반응성 유전자 스위치를 통한 universal 세포 치료기술 개발 김종필 (동국대) 알츠하이머 세포치료제 유효성 평가를 위한 인공 뇌 인큐베이터 조승우 (연세대) / 박장웅 (연세대)· 예병석 (연세대) 바이오소재 2 발표 과제 PI / co-PI 대용량 항체의 초고속 정제를 위한 칼슘반응 무컬럼-크로마토그래피 정제시스템 김성현 (KICET) / 우재성 (고려대) 치료 항체 성능의 획기적 개선 단백질 모듈 오병하 (KAIST) / 안명주 (성균관대) 손상반응성 비암호화RNA기반 신경재생촉진소재 개발 조용철 (DGIST) / 신정은 (동아대) 후성 변형을 생체 모방한 RNA간섭 조절 치료제 지성욱 (고려대) / 최종일 (고려대) · 박우진 (GIST)
주요일정
2022-09-06
Annual Forum 2021
주요일정
2021-11-15
1
2
자주묻는 질문
소개
뉴스
프로그램
과제&연구자
연구내용
연구자
연구제목
연구분야
소속기관
기초과학
소재
ICT
지정테마
링크 바로가기
자주묻는 질문
찾아오시는 길
사회공헌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