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과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분야와 이들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 분야
미래 산업 경쟁력 강화의 근간이 되는 소재 및 ICT 분야
과제 & 연구자
현재 널리 쓰이는 컴퓨터는 다항 시간 안에 풀기 어려운 문제 (NP problem)를 효율적으로 풀 수 없습니다. 기존 컴퓨터가 한계를 보인 이유는 결정론적 동작을 하기 때문인데, 이는 비결정론적 컴퓨팅 기술 중 하나인 확률론적 컴퓨팅이 등장하는 배경이 되었습니다. 확률론적 컴퓨터는 논리적 ‘1’이 출력될 확률이 조절되는 랜덤 소자인 확률론적 비트 (probabilistic bit, p-bit)를 연산 단위로 사용합니다. 기존에 제안된 p-bit는 MRAM에서 사용 되는 자기터널접합 (magnetic tunnel junction, MTJ)의 에너지 장벽을 낮추고, 인가 되는 바이어스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p-bit의 논리적 ‘1’ 출력 확률을 조절 합니다. 이 방식은 MTJ의 특성을 보완하기 위한 별도의 보상 회로가 필요하고, 대규모 집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