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과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분야와 이들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 분야
미래 산업 경쟁력 강화의 근간이 되는 소재 및 ICT 분야
공지사항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과 달걀 세우기를 누구나 할 수 있었을까요?따라 하는 일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앞서 처음하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발상의 전환과 도전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갑니다.
2018-03-15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김대수 생명공학과·이필승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전시각중추(MPA·Medial preoptic area)라 불리는 뇌 시상하부 중 일부가 먹이 소유 본능을 만들어 낸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15일 밝혔다.
소유욕은 인간이나 동물의 고유 본능 중 하나다.
이를 조절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흔히 발견된다.
Prev
서울대 자연대, 수생식물 진화 실마리를 풀었다
Next
자연에 숨어 있는 질서를 찾아서 (1) _ 하승열 교수 | 2018 봄 카오스 강연 ‘모든 것의 수數다‘ 2강
링크 바로가기